오리고기
식은땀•병후 쇠약에 좋은 음기 보충 식품
중국 요리 가운데 북경 오리구이가 유명하지요. 최근 들어 오리에 동충하초를 넣은 탕이 유행하고 있는 것을 보면 몸에 좋을 것 같은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알아볼까요?
오리의 보신하는 효능
오리는 음기를 보하고 위장을 도와주는 효능이 있습니다. 그래서 음기가 허약하여 생기는 발열·기침·갈증·유정. 도한은 물론이고 여성의 월경량이 적은 경우에 좋습니다. 병후에 체력이 허약한 사람의 회복에도 좋지요.
몸이 붓는 경우에도 좋을까?
오리는 몸속의 물을 잘 통행시켜주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므로 부종이나 복수를 치료할 수 있습니다. 보통 메주콩·생강·산초를 오리의 배 속에 넣고 봉합한 뒤에 푹 삶아 먹으면 좋은데, 병후에 몸이 허약하면서 부어 있는 경우에는 늙은 오리에 후박(厚朴)이라는 한약재를 넣어 삶아 먹습니다.
오리를 몸보신으로 먹을 경우 어떻게 만들까?
오리에 돼지고기 · 해삼 또는 동충하초·검인·율무 등을 넣어 요리하면 좋습니다. 특히 병을 앓은 뒤에 쇠약해진 경우에는 늙은 수오리 한 마리를 잡아서 내장을 빼버리고 동충하초 3~5개를 넣은 후 끈으로 동여맨 다음 간장과 술을 넣어 푹 삶아 먹습니다.
민간에서 중풍 치료와 예방에 쓰이는 오리
일부 고서에 오리의 피와 기름이 중풍에 좋다고 나와 있으나, 득보다는 오히려 해를 보는 수가 많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오리알은 어떤 경우에 좋을까?
오리알은 음기를 보하고 혈을 도와주며 허약한 것을 크게 보충해주고 폐의 열을 내려주는 효능이 있습니다. 따라서 음기가 허약하고 폐가 건조하여 기침하고 목이 마르면서 아프며, 이가 아픈 경우에도 아주 좋습니다.
오리고기가 적합한 체질은?
오리고기는 찬 성질이라 체질이 허약하고 손발이 차며 대변이 묽거나 설사하는 사람은 많이 먹지 말아야 합니다. 즉, 열이 많은 체질인 소양인에게는 좋으나 몸이 냉한 체질인 소음인에게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오리고기를 먹을 때 마늘을 같이 먹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명태
기운 나게 하고 해독 작용이 뛰어난 우리 민족의 생선
우리나라 사람은 세계에서 명태를 먹어온 유일한 민족입니다. 가까운 나라인 중국과 일본 근해에서도 잡히지만 그들은 명태를 먹지 않으며, 그들의 본초서에도 명태에 대한 기록은 보이지 않습니다.
초대 대통령을 지내고 91세에 세상을 떠난 이승만 박사의 건강 장수 음식에 북어가 있습니다. 이 대통령은 고기로 만든 음식보다 북어를 재료로 한 음식을 더 좋아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북어국·북어찜·북어무침이 단골 메뉴였는데, 북어 머리나 껍질도 버리는 일이 없었답니다. 떡국을 끓일 때도 고기로 육수를 내지 않고 북어 머리와 껍질로 국물을 내었다고 하지요.
명태의 여러 가지 이름
“맛 좋기는 청어, 많이 먹기로는 명태”라는 말대로 명태는 우리 겨레와 가장 친근한 바닷고기이기에 이름도 매우 많습니다. 무태어(無太魚)·태어(太魚)라고도 하고, 얼리지 않은 생것을 생태(生太), 얼린 것을 동태(太), 말려서 수분이 말끔히 빠진 것을 북어(魚), 반쯤 말린 것을 코다리, 한겨울에 일교차가 큰 덕장에 걸어 차가운 바람을 맞으며 얼었다 녹았다를 20번 이상 반복해서 누렇게 말린 것을 황태(太)라고 부릅니다. 또한 명태의 새끼를 노가리, 그물로 잡은 것을 망태, 낚시로 잡은 것을 조태, 원양어선에서 잡은 것을 원양태, 근해에서 잡은 것을 지방태라고 합니다.
우리 민족이 명태를 즐겨 먹어온 이유는?
가장 흔한 고기였기 때문이지요. 근래 들어 지구 온난화로 해수 온도가 상승하여 서식지가 북상하면서 어획량이 엄청 줄었지만, 예전에는 우리나라 근해에서 가장 많이 잡혔습니다. 그리고 기름기가 적으며 담담하고 시원한 맛이 우리 민족의 구미에 잘 맞은 데다 영양이 풍부하며 어느 한 군데도 버리지 않고 다 먹을 수 있는 생선 중의 보물이기 때문이지요.
명태란 이름이 붙은 이유
조선이 개국하고 250년쯤 되었을 때 함경도에 부임한 민 모 관찰사가 명천군을 방문했는데, 마침 시장하던 터라 밥상에 올라온 명태국을 아주 맛있게 먹었습니다. 생선의 이름을 물었으나 그때까지 이름이 없다고 하자 그 자리에서 명천군(郡)의 명(明) 자와 국을 끓여 바친 어부 태(太) 씨의 성을 합쳐 명태(明太)라고 이름 지었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명태가 앞으로 300년 동안 우리나라의 보물이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고 합니다. 벌써 300년이 지났으니 우리나라 바다에서 사라진 모양입니다.
한편, 먹으면 눈이 밝아진다고 해서 명태라고 했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예전에 함경북도 삼수갑산(三水甲山) 같은 오지에 사는 사람들은 눈이 잘 보이지 않는 풍토병을 많이 앓았는데, 그런 환자들이 겨울 동안 가까운 어촌으로 내려가 한 달쯤 명태 속에 들어 있는 간유를 빼어 먹고 나면 눈이 잘 보이게 되어 돌아가곤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밝을 명 자를 써서 명태라고 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또한, 함경도에서 명태 간의 기름을 짜서 등불을 밝혔는데 '밝게 해주는 생선'이란 뜻으로 명태라고 했다는 설도 있지요.
명태를 먹으면 눈이 좋아지는 근거는?
명태의 간에 비타민 A와 D가 많이 들어 있습니다. 특히 간유에는 비타민 A가 많이 들어 있는데, 대구보다 3배나 많습니다. 비타민 A는 눈에 유익한 것이지요. 비타민 A가 결핍되면 밤이나 어둑한 저녁이나 새벽에 잘 보이지 않는 야맹증이 생기게 됩니다. 야맹증은 기원전 1500년경 이집트의 기록에서 발견될 정도로 오래되었는데, 그리스의 히포크라테스는 동물의 간을 권했다고 합니다. 1867년에 영국에서 대구의 간유로 야맹증을 치료한 기록이 있습니다.
또한 단백질 함량이 많고 지방은 매우 적으며 칼로리도 낮아 비만·고혈압 예방에 좋습니다. 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리므로 동맥경화 심장병 예방에도 도움이 됩니다. 필수 아미노산인 트립토판(tryptophane)이 들어 있는데 세로토닌(serotonin)을 만들어 우울증 예방에 좋습니다.
명태의 효능은?
조선 말기에 편찬된 처방약물 의서인 《방약합편(方藥合編)》에는 북어(北魚)를 “짠맛에 따뜻한 성질이고 허로(虛勞)와 풍증(風症)에 쓴다. 많이 먹으면 회가 동한다. 알은 비위장을 중화시켜 편안하게 한다"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허로, 즉 몸이 허약해진 경우에 쓰고, 풍으로 인한 여러 병증에 쓰여왔다는 말이지요. 비위장을 따뜻하게 하여 소화가 잘되고 기운을 보충시켜주므로 허약해진 몸을 회복시켜줍니다. 특히 알을 명란(明)이라 하는데, 비위장을 도와서 식욕을 돋우고 소화를 잘되게 하며 단백질과 비타민 E가 풍부하지요.
해장국으로 명태국을 먹는데 실제로 효과가 좋을까?
해독 작용이 강하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므로 술을 깨게 하는 해주(酒)·성주(酒) 효능이 있습니다. 간을 해독해주는 메티오닌·시스테인 등 아미노산이 풍부하게 들어 있습니다. 특히 말린 명태는 해독 작용이 더욱 강하므로 민간에서 연탄가스 중독과 후유증은 물론이고 독사지네의 독이나 광견독 등을 푸는 데 효과가 크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한방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어의 효능 (0) | 2022.09.12 |
---|---|
오메가3가 많이 함유된 슈퍼푸드 연어 (1) | 2022.09.12 |
치매 예방에 탁월한 위구르족의 장수음식 양고기 (0) | 2022.09.12 |
소양인에게 좋은 돼지고기와 소음인에게 좋은 삼계탕 (0) | 2022.09.12 |
개고기... (0) | 2022.09.12 |
댓글